본문 바로가기

청년 금융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 청년 적금 정책 장단점 비교

반응형

청년지원정책, 적금

정부에서는 청년들에게 적금을 하라고 등 두들겨 주는 정책을 많이 냅니다.

모든 청년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사회 초년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가입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박탈감을 느끼기 쉬운 요즘, 정부지원정책을 잘 활용해서 종잣돈을 만들어나가는 건 굉장히 유용하다 생각됩니다.

 

몰라서 못 받는 정부지원금

알면서 신청 안 하는 청년도 꽤 있을 거라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신청 조건이 까다로워서, 일일이 확인하기 귀찮아서.

그런데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가입조건은 조금 까다로울 수 있으나, 일단 가입하면 월 수익률 100%인 적금입니다.

아무리 투자를 잘 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월 수익률 100% 플러스 알파(이자율) 확정인데, 마다할 이유가 있을까요?

제대로 알고 제대로 투자하길 바라며, 이 글을 작성해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동안 청년이 10만원 적금하면 정부가 10만원을 함께 적립해줍니다.

물론 내가 적금한 액수에 이자도 따라옵니다.

 

다만 이자를 받을 때 일반과세가 적용됩니다.

수협이나 새마을금고의 경우 조합원을 가입한 뒤에 적금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합원 혜택으로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적금 가능 금액은 매월 10만원에서 50만원까지 가능한데요.

10만원 초과되는 부분은 다른 은행에서 적금을 들었을 때 더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자에 대한 과세 금액을 우습게 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비과세 혜택높은 이자율이 특징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정부 지원금도 있지만, 많아야 24,000원입니다.

정부지원금을 바란다기 보다는 청년도약계좌에서는 비과세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적금 가능 금액은 매월 1천원부터 7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정부지원금만 생각하면, 연봉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의 경우 월 40만원만 넣어도 월 지원금으로 24,000원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70만원 적금한 것까지 높은 이자율에 비과세 혜택이 더해진다면, 그만큼 좋은 적금이 없습니다.

물론 5년이라는 기한이 길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아시잖아요?

돈 모으려는 사람은 1년 적금 끝나면 1년 예금으로 묶어버린다는 것.

 

5년동안 70만원을 꼬박꼬박 비과세로 모으는 것보다 더 큰 혜택이 있을까요?

 

추천하는 운용 방식

매월 얼마씩 적금을 넣을 수 있는지부터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을 받는 청년의 경우에도, 80만원은 적금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엄청난 빚이 있어서 갚아야 할 돈이 나가는 경우가 아니라면요.

 

80만원을 저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에는 매월 10만원씩 자동이체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에는 매월 70만원씩 자동이체를 합니다.

 

적금의 금리 우대조건은 상세히 살펴보고 맞추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과 청년도약의 거래 은행을 하나로 맞춰서 급여를 받을 수 있다면,

그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참고로 저는 청년내일과 청년도약이 서로 다른 은행에서 거래 중이며,

회사 사정 상 급여이체도 아예 다른 은행으로 받고 있습니다.

우대조건 때문에 청년내일, 청년도약 각 통장에 매달 "급여"라고 써서 직접 입금해버립니다.

 

80만원보다 그 이상으로 저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청년내일(3년) 10 + 청년도약(5년) 70 + 수협(1년) 준조합원 a

 

수협이나 새마을금고에서 준조합원 가입 후, 1년짜리 적금으로 세금우대를 받는다면 좋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에 50만원까지 넣을 수 있지만, 3년동안 일반과세로 운용되기 때문에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아직 3~4%대의 이자 적금 상품이 나오기 때문에 잘 보고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이자율이 계속해서 낮아지고,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이자율은 괜찮다면?

그럼 일반과세여도 청년내일저축계좌에서 득을 보는 게 나을지 따져보고, 더 이득인 쪽으로 넣으면 되겠습니다.

 

80만원 이하로 저축하는 경우?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매월 10만원씩은 무조건 넣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모두 넣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서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을 확인한 뒤, 그 최소금액(40만원~)은 맞추자는 심정으로 넣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중도해지가 우려된다면 처음부터 욕심내지 말고 적은 액수를 넣는 것도 추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