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년 금융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 청년 적금 정책 장단점 비교 청년지원정책, 적금정부에서는 청년들에게 적금을 하라고 등 두들겨 주는 정책을 많이 냅니다.모든 청년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사회 초년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가입할 수 있습니다.경제적 박탈감을 느끼기 쉬운 요즘, 정부지원정책을 잘 활용해서 종잣돈을 만들어나가는 건 굉장히 유용하다 생각됩니다. 몰라서 못 받는 정부지원금알면서 신청 안 하는 청년도 꽤 있을 거라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신청 조건이 까다로워서, 일일이 확인하기 귀찮아서.그런데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가입조건은 조금 까다로울 수 있으나, 일단 가입하면 월 수익률 100%인 적금입니다.아무리 투자를 잘 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월 수익률 100% 플러스 알파(이자율) 확정인데, 마다할 이유가 있을까요?제대로 알고 제대로 투자하길 바라며,.. 더보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준 중위소득 & 유지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의 달이 돌아왔습니다!매월 10만원만 저축하면, 정부에서도 10만원을 함께 저축해주는 계좌인데요.수익률 100%짜리 계좌!신청 안 할 이유가 없죠!!! 소득 기준만 맞는다면 청년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니, 꼭 혜택 받으시기를 바랍니다.지원 내용 & 지원 대상대상기준 : 일하는 19세~34세 (수급자·차상위자는 15세~39세)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1인가구 기준 월 223만원)& 근로소득 월 50만원 초과 ~ 230만원 이하(단,수급자·차상위자는 월 10만원 이상) 모집기간 : 2024년 5월 1일 ~ 5월 21일 지원내용 : 월 10만원 본인 저축 + 월 10만원 정부 지원 (차상위 이하인 경우 월 30만원) 가입기간 : 3년간 만기 수급액 : 3년 .. 더보기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전환 시 달라지는 점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전환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개설하면서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개설해 매달 2만원씩 넣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확인해보니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자동 전환이 되어 있더군요. 가입했던 하나은행에서 2024년 2월 21일자로 특약 변경 안내 메일을 받았습니다. 가입대상 만 19~34세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무주택자 (비과세 소득만 있더라도 현역병 등은 가입 가능) 우대이율 가입기간 2년 이상 충족시 무주택 기간 만큼 "주택청약저축" 이율(2.5%)에 우대이율(1.7%p) 가산 (원금 5천만원 한도, 가입후 10년 이내 기간) ※ 기존 청년우대형 대비 0.2%p 인상 청약통장에 꾸준히 납입하니 시간이 지날 수록 기본금리가 높아졌습니다. 처음 가입할 때는 1.5%에서 우대금리 1... 더보기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대상자 기준, 필요서류 월세 내는 청년 19세~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이 시작됐습니다. 월 최대 20만원 임차료(월세)를 최대 12개월, 생애 1회에 한정하여 현금으로 지원해줍니다. 그렇다면 최대 24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지원대상 다음을 모두 만족하는 청년에게 지원합니다. 신청일 기준 청년기본법상 청년(신청년도 기준 만 19~34세가 되는 해) ☞ 2024년 신청 : 1989년 1월1일 ~ 2005년 12월31일생 ☞ 2025년 신청 : 1990년 1월1일 ~ 2006년 12월31일생 ☞ 선정 이후 기준 연령을 초과하여도 계속지원 가능 부모님과 별도 거주 무주택 청년 청약통장 가입자 ☞ 청약통장 종류 및 납입금액 무관 ☞ 신청일 전까지 가입하면 가능 임차보증금 5천만원 .. 더보기
청년도약계좌 매달 적립금, 최소 얼마씩 넣을까? 5년동안 매월 70만원, 가능할까? 청년도약계좌가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 "5년" 이라는 가입기간 때문에 망설여지기도 했습니다. 욕심내지 말고, 내가 지킬 수 있는 적당한 금액만을 넣어서 만기일까지 해지없이 유지해야 했으니까요. 당시에 다른 은행에 적금을 들고 있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자율적금이기 때문에, 매달 원하는 금액을 1천원 이상만 넣으면 됩니다. 매달 얼마씩 넣을지 정해서 꼬박꼬박 같은 금액을 넣어야 하는 정기적금에 비해 부담이 적은 것이죠. 돈 나갈 일이 많으면 조금만 넣으면 되고, 상여금이나 보너스가 들어왔을 땐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넣어도 됩니다. 먼저, 다음의 질문을 읽고 생각해 보세요. 대답을 글로 쓰면 더 좋습니다. Q1. 현재, 매달 저축 금액은 얼마인가요? 저는 청년도약계좌를 가.. 더보기
청년도약계좌 기본 정보 총정리! 취급은행 우대조건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 60개월 (5년) 상품유형 : 자유적립식 납입금액 : 회차별 최소 1천원 이상 1천원 단위로, 매월 70만원 이하 적용금리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특별우대금리 ※ 기본금리는 신규일로부터 3년까지는 신규일 당시 영업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된 금리 적용, 3년 경과시점부터는 변경 가능 정부기여금 정부기여금 한도가 각각 2만4천원, 2만3천원, 2만2천원, 2만1천원 입니다. 총 급여가 6천만원을 초과하지만 7,500만원 이하인 경우?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은 할 수 있으나, 정부기여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소득이 높은 사람도 가입대상이라면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으니 일단 신청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총 급여가 7,500만원을 초과하는 청년은 가입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총급여는 .. 더보기
청년내일저축계좌, 그냥 저축만 하면 안 됩니다!! (가입자 필독)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자유적립식으로, 매월 10만원 이상~50만원 이하 범위에서 만원 단위로 적립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청년에게 하고 싶었던 말은 뭘까요? 왜 청년내일저축계좌를 만들었을까요. 저는 2022년에 처음 출시되자마자 1기로 가입해서 꼬박꼬박 돈을 넣고 있습니다. 가입한 은행 어플에선 정부지원금이 들어오는 것도 보여서 꽤나 믿음이 가는 계좌입니다. 열심히 일해서 꼬박꼬박 통장에 돈 넣는 연습해 봐. 당장은 소득이 적으니 우리가 도와줄게. 포기하지 말렴, 3년이 지나면 배가 되어 있을 거야. 3년은 눈 딱 감고 하는 거야! 3년이란 가입 기간이 짧다면 짧지만, 무언가 바뀌기에도 충분히 긴 시간입니다. 그래서인지 생각보다 챙겨야 할 요소가 있더라구요. ① 3년간 근로활동 청년내일저축계좌에서 말하.. 더보기

반응형